Dev/Android3 [Android] HLS in Android 서론 HLS란? HLS(HTTP Live Streaming)은 비디오 스트리밍 프로토콜로, 오디오나 동영상을 여러 개의 작은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이러한 세그먼트를 HTTP 기반의 웹 서버를 통해 전송한다. 주로 Twitch 같은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이나, OTT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HLS 사용 이유 HLS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적응형 비트레이트 스트리밍이라는 장점 때문이다. HLS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스트리밍 품질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버퍼링을 최소화하고, 여러 품질 수준으로 인코딩된 동일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가장 적합한 비트레이트를 선택한다. 또한 HTTP를 기반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기존의 HTTP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Dev/Android 2024. 7. 20. [Android] Android Multi-Module 서론 멀티 모듈이란? 안드로이드 멀티 모듈(Multi-module)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여러 개의 모듈로 나눠서 관리하는 방법이다. 모듈은 프로젝트의 독립적인 단위로, 독립적으로 빌드되고 테스트 될 수 있다. 멀티 모듈 왜 쓰나요? 멀티 모듈을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이유로 구분할 수 있다. 1. 코드 재사용성 - 공통 기능을 라이브러리 모듈로 분리하여 여러 기능 모듈에서 재사용할 수 있음( 추후 사용될 Build - logic Module에서 자주 적용할 예정)2. 빌드 시간 단축- 모듈별로 독립적인 빌드가 가능하므로, 변경된 모듈만 빌드하여 전체 빌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3. 코드 가독성- 각 모듈이 독립적으로 관리되므로 코드의 가독성이 향상됨4. 유지 보수성- 모듈별로 책임이 .. Dev/Android 2024. 7. 18. [Android] Android studio WearOS App (갤럭시 워치 앱) 빌드 방법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Mobile APP 모듈 개발이 끝나고, 워치에 포함될 Wear 모듈을 빌드하며 테스트를 해야할 일이 생겼다. 다른 워치 시리즈의 경우는 어떤지는 모르겠는데, 일단 내가 갖고 있던 갤럭시 워치6 44mm의 경우에는 컴퓨터와 직접적인 USB 연결을 통한 빌드 방식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선 디버깅이 필수적이었다. 근데 모바일 무선 디버깅은 QR 인식이나 pair code를 입력해서 진행하는데 워치에는 카메라는 당연히 없거니와 모바일엔 있던 pair code를 입력하는 그게 없었다. 그래서 직접 방법을 찾아서 어떻게 연결에 성공시켰고, 해당 방법을 자세히 기록해두고자 한다. 1. Wearable 개발자 도구 켜기 이 부분은 기존에 핸드폰에서 개발자 도구를 켜는 방식이랑 .. Dev/Android 2024. 5. 15. 이전 1 다음